주변안내

  • 메인 ▶
  • 주변안내
서문한옥 게스트하우스의 주변 볼거리! 대구의 다양한 명소를 소개합니다.
  • · 중구 큰장로 26길 45
  • · 053-256-6341
  • · 상세보기
  • 서문시장 야시장
    서문시장 야시장은 대구의 밤문화와 다양한 첨단, 문화예술이 복합되어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한다. 글로벌, 퓨전 먹거리를 비롯하여 대구에서만 찾을 수 있는 독특한 음식우리의 추억과 감성을 자극하는 다양한 볼거리, 살거리가 즐비합니다.대구로 방문하신다면 반드시 찾아가봐야 할 1순위는 단연 ‘서문시장 야시장’이다. 서문시장 야시장은 2016년 6월에 개장한, 총거리 350M에 달하는 대형 야시장이다.우리나라 3대 시장인 서문시장의 밤거리를 무대로 하여 총 80대의 매대에서 다양한 먹거리, 살거리를 판매하며 매일 저녁, 시민과 관광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특히, 먹거리 일색인 타 야시장과는 달리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의 3대 요소가 연중으로 펼쳐지는 마법같은 관광지이기도하다.
  • · 수성구 용학로 35-5
  • · 053-761-0645
  • · 상세보기
  • 수성못
    수성못이 문화와 어우러져 또 다른 매력을 뽐내고 있다. 평일은 물론 주말이면 나들이객들로 북적이고, 저녁 어스름을 지나 네온이 하나 둘 켜지기 시작하면 거대한 공연장으로 변신한다. 못 둑에 진을 친 버스커들이 발길을 멈추게 하고, 비보이 춤꾼들이 야경 속에서 현란하다. 생태복원사업으로 되살아난 자연은 생기를 불어 넣는다. 직선의 삶을 강요하는 일상에서 벗어나, 곡선의 여유응 발견할 수 있는 그곳, 지친 마음을 치유하고 상념에 빠진 내면을 되돌아 보기에 그만인 그곳, 바로 그곳이 수성못이다. 풍경과 문화가 뿌리내리기 전, 수성못은 역사와 이야기의 현장이었다. 일제강점기와 맞닥뜨린 옛 이야기가 수면 위에 스며들어 있고, 시대의 아픔을 증언하는 한 시인의 생생한 체험이 물결위에서 요동친다.
  • · 동구 팔공산로 199길 6-1
  • · 053-982-0005
  • · 상세보기
  • 팔공산자연공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192m이다. 대구광역시 중심부에서 북동쪽으로 약 20㎞ 떨어진 지점에 솟은 대구의 명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봉인 비로봉(毘盧峰)을 중심으로 동 / 서로 20㎞에 걸쳐 능선이 이어진다. 예로부터 신라시대에는 부악(父岳), 중악(中岳), 공산(公山), 동수산(桐藪山)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고려시대에는 공산으로 불려지다가 조선시대에 와서 지금의 팔공산으로 명하고 있다. <좀 더 알아보기> 팔공산은 대구광역시의 중심에서 북동 방향으로 약 20km 지점에 태백산맥이 남으로 힘차게 내딛다가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곳에 우뚝 멈추어 장엄하게 솟은 산으로 해발 1,192m의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일명, 미타봉 1,155m)과 서봉(일명, 삼성봉 1,150m)이 어깨를 나란히 웅자를 겨루고 있으며 행정구역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고 영천시, 경산시, 칠곡군, 등 4개 시.군을 경계로 총면적이 30.593㎢이다.
  • · 남구 앞산순환로 454
  • · 053-803-5450
  • · 상세보기
  • 앞산전망대
    "대구 시내를 조망할 수 있는 으뜸 명소 ‣ 앞산케이블카를 타고 오르내리는 쉽고 편안한 여정 ‣ S자로 굽어지며 흐르는 낙동강을 시작으로 오른쪽으로 도시를 감싸는 산자락이 겹겹이 펼쳐진다. 노을이 붉게 물든 하늘 아래 하나 둘 불을 밝히는 도심의 불빛이 잔물결 일렁이는 바다처럼 아름답게 펼쳐진다" 앞산공원은 도심에서 4.5㎞이내에 위치하여 시민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도심을 바라보고 있는 앞산은 깊은 계곡이 많아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산림이 울창하며, 심신수련과 체력단련이 용이하다. 앞산은 비슬산의 맥을 따라 그 준령이 대구 도심 앞에까지 이어왔으므로 비슬산(※) 또는 대덕산이라고 불리고 있으나 1832년에 편찬된『대구읍지』에 의하면 성불산이라 표기되어 있으며 "앞산"으로 불리고 있는 것은 대구의 앞쪽에 있는 산이라는 뜻으로 불리던 것이 고유명사로 굳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 · 대구시 중구 대봉동
  • · 070-811-3024
  • · 상세보기
  •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김광석 길은 故 김광석이 살았던 대봉동 방천시장 인근 골목에 김광석의 삶과 음악을 테마로 조성한 벽화거리이다. 2010년 '방천시장 문정성시 사업'의 하나로 방천시장 골목길에 11월부터 조성하기 시작한 김광석 길은 중구청과 11팀의 작가들이 참여하였다. 350m 길이의 벽면을 따라 김광석 조형물과 포장마차에서 국수 말아주는 김광석,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김광석 등 골목의 벽마다 김광석의 모습과 그의 노래 가사들이 다양한 모습의 벽화로 그려졌다. 매년 가을에는 방천시장과 동성로 일대에서 '김광석 노래 부르기 경연대회'를 개최하여 故 김광석을 추억하고 있다.
  • · 중구 달구벌대로 415길
  • · 053-253-4729
  • · 상세보기
  • 약령시
    대구약령시는 조선 효종 9년(1658년) 경상감사가 직무하는 감영(監營)의 소재지로 집결하는 약재중에 좋은 것은 중앙기관으로 상납하고 그 나머지를 일반인들에게 판매하면서 시작되었다.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하여 350년의 전통을 꿋꿋이 이어나오고 있는 곳이다. 현재 대구약령시의 자취가 남아있는 곳은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동 일대이다. 이 곳은 옛 대구성(大邱城) 이 있었던 남성로(南城路)의 약전(藥廛)골목이며, 남성로를 따라 약 650m 도로에 한약방과 한의원, 인삼사, 약업사, 제탕원, 제환·제분소, 한약찻집, 한방 음식점, 한방·전통상품점 등 350여 업소가 즐비하게 들어서 약령시를 형성하고 있다. 매년 5월초에는 대구약령시축제를 개최하여 약령시의 문화적 가치를 전국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약령시와 한의약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사랑을 유도하고 있다.
  • · 대구시 중구 명륜로 112
  • · 053-422-8700
  • · 상세보기
  • 대구향교
    조선을 건국한 태조(이성계 李成桂)는 이전 고려 왕조의 불교 중심 정책을 억제하고 일상 생활 예절의 근본이 되는 儒學(유학)을 널리 펴기 위해 향교를 세웠고, 대구향교도 이 중에 하나이다. 향교는 당초 1398년 교동에 세워졌으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932년 일제침략기 유림집회로 인한 항일운동 봉쇄를 위해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대성전에서는 유교문화의 중흥을 위해 영남각지에서 유림등이 모여들어 연2회 춘추중월(2, 8월) 상정일(上丁日)에 석전대제를 올리고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 로 공포를 기둥위와 기둥사이에로 짜올린 다포식(多包式) 건축으로 단층 맞배기와집이다. 현재 대구광역시 문화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현재에도 명륜당과 유림회관에서는 사서경전 강의, 충효교실, 전통혼례 등이 이루어지는 살아 있는 현대의 향교 역할을 다하고 있다.
  • · 대구시 중구 달성로 56
  • · 053-250-7100
  • · 상세보기
  • 동산의료원 의료선교 박물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1999년 10월 1일 개원 100주년을 맞이하여,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선교사 사택 2동을 선교박물관(스윗즈 주택 / 대구시 유형문화재 제24호), 의료박물관(챔니스 주택 / 대구시 유형문화재 제25호)으로 설립하였다. 현재 1층에는 각종 성경과 선교유물, 기독교의 전래 과정 등의 사진 자료와 2층에는 성막 모형 및 이스라엘 현지에서 구입한 구약 ㆍ신약 관련 소품들을 관람 할 수 있다. 또 우리 병원에서 의무지원활동을 펼친 2002년 월드컵대회와 2003년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남긴 기록들과 자료, 세계로 뻗어 나아가는 우리들의 젊은이들과 시민들의 모습을 모은 월드컵 기념관과 유니버시아드 기념관이 있다.
  • · 대구시 중구 달성로 22길 31-12
  • · 053-803-6252
  • · 상세보기
  • 대구예술발전소
    대구예술발전소는 2008년 10월 "지역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 창작벨트조성" 계획의 정부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추진하였다. 우리나라 담배산업 뿐만아니라 전반적인 산업유산의 대표적인 공간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연초제조창 별관창고(중구 수창동)를 리모델링하여 낙후된 구도심지역에 예술창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시재생의 효과는 물론 실험적 예술창작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창의적 작가 양성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대구예술발전소는 기성적가들에게는 창작활동에 몰두하여 우수한 창작물을 생성하고, 신진작가들에게는 창작의 길을 열어주는 등용문으로 시민들이 전문 아티스트와 공동작업을 통해 자유로운 참여로 예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창의력을 발전시켜 주는 창작공간으로 성장 할 것이다.
  • · 대구시 중구 태평로 141
  • · 053-250-1400
  • · 상세보기
  • 대구콘서트하우스
    대구콘서트하우스(Daegu Concert House)는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 141(태평로2가)에 위치한 종합 공연장이다. 1975년 10월 5일에 대구시민회관으로 개관했으며, 이후 노후화로 보수·보강이 필요한 대구시민회관을 공유재산 위탁개발 사업방식으로 리노베이션하여 2013년 11월 29일에 국제적 수준의 고품격 전문 콘서트홀로 재개관을 하였다. 2016년 1월 1일에 대구콘서트하우스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상주예술 단체로는 대구시립예술단인 대구시립합창단, 대구시립교향악단이 있다.